Love Wins All, 하지만 아무것도 남지 않은
처음 노래 제목이 러브윈즈로 공개되었을 때, 러브윈즈가 퀴어 슬로건인걸 모르고 썼다면 멍청하고 알고 썼다면 악의적이라고 일기에 적었다. 러브윈즈올로 제목이 변경되고, 음악과 뮤직비디오가 공개되면서 확실하게 이 두가지를 다 했다고 생각한다. 자기 눈에 보면 예쁘게 조합할 수 있을법한 것들을 잘 짜깁기해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너무 오랜 시간동안 내 인생에서 아이유라는 존재가, 그의 음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제 그 기둥이 아주 낡아 버린 기분이 든다. 섭섭하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고, 조금은 슬픈 것 같기도 하다. 내 감정에 '~같다'라는 표현은 절대 붙이고 싶지 않은데 지금 정확하게 이 감정의 상태를 모르겠다. 감독의 해석본*을 뮤직비디오를 본 후에 읽었는데, 감독은 생각이 참 많았더라. 문제는 이 생각 자체도 아주 혐오적이었을뿐더러 영상에서 서사적으로 잘 표현되지도 않았다. 그냥 이래저래... 담긴 의미도 표현하는 방식도 모두 잘 만들어지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러브 윈즈라는 단어가, 사랑이 다 이긴다는 말이 예뻐서 가져다 쓰고 싶었던걸까? 도대체 무슨 생각이었던걸까? 아무도 말리지 않은 걸까? 아니면 말리지 못한 걸까?로 이어지는 물음들이 내 안에서 생겨났다 사라지길 반복한다. 이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그래서 그 사랑이 모든 걸 다 이겼는지를, 나는 그래서 차라리 이 사랑이 황폐한 세계를 구해내기라도 할 줄 알았다. 그래야 말로만이라도 사랑이 다 이긴다고 할 수 있을 테니까. 하지만 결국 이겼는가? 라고 묻는다면 엄태화 감독이 '나아가 우리 일상에서 만연한 각종 차별과 억압'이라고 설명한 네모는 다음과 같이 다시 언급되며 마지막에 그 속성이 바뀐다. '끝내 ‘네모’로 인해 육체가 소멸하고 그들이 걸치고 있던 ‘옷’만 남게 된다. 두 사람은 마지막 캠코더 화면에서 이들이 공중으로 떠오르는 것으로 암시되는데, 이는 온갖 억압과 압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날아갈 수 있음을 뜻한다. ' 어째서 차별과 억압으로 인해 육체가 소멸하면 억압과 압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질 수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이것이 승리가 되는가? 이런 말도 안되는 내용이 이 곡과 뮤직비디오의 서사를 관통하고 있으니 퀴어 슬로건을 가져다 썼다거나, 장애를 '아름답지 않은'것으로 본다거나 하는 내용적 시대착오성을 차치해두고서라도 납득하기 힘든 것이 되어버린다. 수많은 내 지인들이 그 차별과 억압때문에 떠났고, 나도 시도한 당사자 중 한 명이다. 결국 억압과 압박에서 벗어났지만 이건 사랑이 이긴 게 아니라 단 한 번 이기기도 전에 죽어버린 수많은 패배한 사랑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
단 한번의 승리를 위해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사람들이 있는 게 내가 아는 사랑인데, 모든 사람들과 함께 연대하는것도 인류애적 사랑도 아니고 그냥 단 둘이 손잡고 도망치자는 내용을 말하고 있다는 점도 마음을 참 복잡하게 만들었다. 요즘같은 저출생 시대에 남자랑 여자랑 결혼해서 산다고 하면 누가 그렇게 반대하는지가 궁금도 했다. 제목이 거의 반어법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세상에게서, 필연에게서 도망쳐 나와 저 끝까지 가 달라는 말은 결국 포기하는 것과 다름이 없어서 결국 이 사랑은 어째서든 이길 수 없다고 계속 말해주는 것 같기도 했다. 그리고 이걸 팬송이라고 한 손편지가 생각나서 더 절망했다. 난 비난받아도 이 자리에 서서 아이유를 지켜내고 싶지, 도망쳐서 숨고 싶은 게 아니란 말야. 왜 이게 이긴 사랑인지는 어쨌든간에 내가 납득할 수 있는 범위는 아니다. 이성애자들은 축복받으며 하는 고작 결혼이 퀴어에게는 비난받고, 가족이나 사회로부터 밀려나고, 그럼에도 법적으로는 할 수도 없는 것이라서 수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동안 죽고, 패배하고, 포기해온 끝에 미 연방대법원에서 2015년에 강제로 동성결혼을 저지해야 한다는 것은 중단되어야 한다는 판결과 함께 비로소 사랑이 승리를 거뒀다는 의미에서 러브 윈즈라는 슬로건이 나온 것이다. 난 차라리 아이유가 손글씨로 쓴 내용처럼, 아주 정말 차라리 이게 인류애의 내용이었고 그냥 좋게 좋게 말하는 우리 서로 사랑을 하자는 뉘앙스였다면 그냥 괜찮다고 어차피 이 산업에서 공개적으로 성소수자 권리를 주창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을 거였다. 그래서 그렇겠거니 하고 뮤직비디오를 봤는데 참... 다시 앞과 똑같다. 못난 마음을 못난 포장지로 포장한 느낌. 러브 윈즈 올이라고, 모든 걸 사랑이 이긴다고 말하지만 결국 아무것도 이기지 못하고 도망치다 끝나 버린 주제에 이건 예쁜 사랑 이야기라며 의미와는 관련없는 그냥 색감이 비슷한 스티커를 붙이고 맥락과는 상관없이 그냥 잘 만들어진 감성문구를 가져다 붙인 것 같았다. 내가 아이유를 사랑해온 약 긴 시간들 중 가장 실망스러운 곡과 가장 실망스러운 뮤직비디오였다.
감독의 해석본*